2020년 10월 7일 수요일

"부대원에 암매장 정호용 특전사령관 지시 사실 진술 확보"

“사람과 동물 자연 모두의 행복을 추구한다 는 좋은 취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열심히 활동하며 아무 거리낌없이 생활 과 아픔없이 웃음만 안고 삶을 영위하는 세상살이 야말로...<script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부대원에 암매장 정호용 특전사령관 지시 사실 진술 확보" 

5·18진상조사위 송선태 위원장 밝혀
주남마을 학살사건 3건 추가 확인

"옛 광주교도소 내 5곳 새로 지목"

1980년 5월 18일을 기억하나요???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2017년 11월 5·18기념재단 관계자들이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발굴작업을 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제공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5·18조사위)가 5·18 때 광주에 왔던 계엄군들한테서 옛 광주교도소 안 암매장 장소를와 관련해 의미있는 진술을 확보했다.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부대원들에게 암매장 사실을 보고하도록 지시했다는 진술도 나와 주목된다.


송선태 5·18조사위 위원장은 7일 “3공수여단 5개 대대 부대원 260여 명을 조사한 결과 20여 명이 광주시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내 암매장 장소를 특정해 지목했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5·18 당시 정호용 특전사령관이 부대원들에게 암매장 사실을 보고하도록 지시했고 부대원들은 ‘8계단 좌표’를 군사지도에 찍어 보고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현재 ‘8계단 좌표'가 기록된 군대 문서는 찾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로축과 세로축을 각각 숫자 네자리로 표기하는 ‘8계단 좌표’는 1:50000 축적 지도에서 10m 이내까지 판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5·18조사위는 5·18 당시 옛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며 암매장을 지시한 3공수여단 지휘관과 주검을 땅에 묻었다는 사병 진술 등을 새로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술을 종합한 결과 옛 광주교도소 외곽지역 5곳이 특정됐으며 이중 3곳의 진술이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송 위원장은 “현재 암매장이 유력하다고 판단되는 3곳은 상부 보고에 누락돼 계엄군이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 5·18 직후 사체처리반이 광주에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는 만큼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5·18조사위는 주남마을 총격사격에 대해서도 기존에 알려진 1건 외에 3건이 더 있었다는 증언을 확보했다.


1980년 5월23일 발생한 주남마을 총격사건은 광주∼화순간 도로를 지키던 11공수여단이 광주에서 화순쪽으로 향하던 버스를 사격해 버스에 타고 있던 15명이 즉사하고 생존자 2명은 확인 사살 후 암매장, 1명이 생존한 사건이다.


그동안 주남마을 계엄군 총격 사망 사건이 수차례 더 있었다는 언론의 문제 제기가 잇따르자 5·18조사위는 관련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11월 5·18기념재단 관계자들이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발굴작업을 하고 있다,

국가정보원이 보유하고 있는 5·18 기록에 북한군 투입 관련 기록이 없다는 내용도 확인됐다.


송 위원장은 “국정원 자료조사 태스크포스(TF)팀과 1차 합동 검증한 결과 5·18 당시 북한군에 관련된 기록은 없었다.


국정원이 탈북자 등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사실 무근이었다는 내용도 있었다”고 말했다.



법정기념일,

5·18민주화운동,

기념일5월 18일달력보기

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하여 광주(光州)와 전남(全南) 일원에서 신군부의 집권 음모를 규탄하고 민주주의의 실현을 요구하며 전개한 민중항쟁의 법정기념일 더보기

임을 위한 행진곡제40주년 기념식


1980년대 광주민중미술』展을 시작으로 매년 오월정신과 민주, 인권, 평화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는 전시를 개최해왔다. 그간의 전시들을 통해 1980년 5·18민주화운동 이후 광주, 전남 지역의 회화, 판화를 비롯한 걸개그림, 깃발, 그리고 다양한 사료들을 전시함으로써 아카이브 자료를 정리, 수집하고 있다. 그동안의 5·18과 관련된 전시의 흐름이 1980년대 과거에 대한 기록과 직접적인 고발 중심의 리얼리티 묘사였다면, 이번 5·18민주화운동40주년 특별전은 은유와 암시로서 5·18 광주정신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기획되었다.


1980년 5월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당시 광주의 고립된 섬과 같은 풍경을 잊지 못한다. 그렇게 '신화'가 된 열흘간의 이야기는 분노와 슬픔으로 가득한 대서사시였다. 세상이 몇 차례 변하면서 많은 것들이 세상을 바꾸었지만 여전히 아픔의 씨앗들은 기억을 여전히 그곳에 머물게 한다. 고립무원에 남겨진 이들의 심정을 헤아려보면 그들을 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별이 된 사람들』 전시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 지난 오늘,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전국적 관심과 세계사적 의미를 이끌어내기 위해 광주지역을 넘어서 국내는 물론 해외 유명작가까지 참여 작가의 폭을 확대했다. 세계적인 미디어작가 피터 바이벨(Peter Weibel, 오스트리아/독일)을 대표하여 쉴라 고우다(Sheela Gowda, 인도), 미샤엘라 멜리안(Michaela Melian, 독일), 쑨위엔 & 펑위(Sun Yuan & Peng Yu, 중국)를 포함,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지명도 높은 국내 작가 등 모두 24명(팀)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5·18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그들의 희생에 담긴 숭고미를 동시대 미술로 해석한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회화, 사진, 설치, 미디어, 영상, 생태미술 등 동시대 현대미술이 지닌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언어로 표현한 작품들이 전시되었다. 전시의 핵심 키워드는 80년도 당시 광주시민들이 보여준 '집단 지성과 사회적 이타심'으로 40년이 지난 현재 '분노와 슬픔에서 희망이 시작되는 미래지향적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췄다.


24명의 참여 작가들은 다양한 예술작업들을 통해 은유와 암시로 이루어진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개별자들의 절대성과 함께, 공간의 분위기는 여러 갈래의 이야기들이 서로 뭉쳤다 흩어지곤 한다. 전시 도입부는 관객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갈등하는 시대의 서사(敍事)와 마주친다. 긴장감이 들기도 하고 때로는 5·18의 의미를 다시 발견하게도 한다. 이미 신화가 된 이야기를 우리가 보다 잘 볼 수 있는 방법은 '느끼게' 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있다면 '역사는 발생한 사건을 더 나은 힘으로 이용하는 힘이 되기 위함'을 알기 때문이다. 5·18은 군사독재 시절 국가의 총체적인 구조적 편향이 만들어낸 비극이다. 그리고 40년이 지난 오늘, 우리가 진정 우려하는 것은 그때 현장에 있었던 광주시민들이 보여준 집단지성과 사회적 이타심 그리고 그 희생의 숭고함이 잊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여전히 지금도 5·18의 정신이 유효한 것은 한 공동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집단지성과 사회적 이타심'이 요구된다는 이유에서다.


5·18이 남긴 유산은 바로 이를 기억하고 기념함으로 공동체의 삶이 지향해야 할 길을 열어나가는 것이다. 국가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고, 고립된 도시 공간에 남아있던 당시 광주시민들의 비장함과 남겨진 사람들의 숙연함을 드러내는 것에 어둠(상처)과 빛(치유)은 그 자체로 분리될 수가 없다.


전시에서 반복적으로 보이는 어둠과 빛이 그렇다. 모두의 5·18이 예술을 통해 우리에게 '속삭임의 힘'으로 다가오길 기대한다. 


별이 된 사람들- 5·18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 展. 광주시립미술관. 2020.  08.  15.  -  2021.  01.  31.



1980년 5월 18일을 기억하나요???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오월 그날이 다시 오다면>


1980년 5월 18일을 기억하시나요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1980년 5월 18일을 기억하고 계신가요? 올해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행사들이 취소되거나 축소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5·18 기념재단과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국가기록원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공동 주최로 5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열리는 이번 특별전은 5·18 을 경험하고 목격하며 세상에 알린 이들이 남긴 기록과 그들을 가혹하게 탄압했던 신군부 측의 기록을 함께 전시하고 있습니다. ​

광주민중항쟁으로도 불리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라남도 광주에서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를 요구하며 일어났습니다.


우리나라 현대사와 민주주의 역사에 중요한 획을 긋는 사건으로써 2011년에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정식으로 등재되기도 했죠.

그러나 서울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 대규모의 전시가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데 조금 놀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된 역사적 사건에 대한 대규모 전시가 서울에서 40년간 한번도 없었다는 사실에서 광주민주화운동이 폭동에서 사태로 또 민주화운동으로 제자리를 찾아오는 동안의 지난했던 과정을 새삼 되돌아보게 됩니다.

전시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1층과 3층, 두곳으로 나뉘어져 진행되는데요.


먼저 3층의 기획전시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에서는 다양한 기록물과 실물자료를 통해 40년 전 5월 저마다의 자리에서 광주를 목격하고, 지키고, 알리려 애썼던 이들의 기록과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영상자료와 신문 기사들을 보면서 그때의 긴박했던 순간들을 느낄 수 있었고,

 

당시 현장을 찍은 사진들과 시민들의 일기를 읽으며 가슴이 먹먹해지기도 했습니다.

 

또, 당시를 생생하게 기록한 기자들의 취재수첩과 계엄군이 시민들을 폭행하는 데 사용했던 도구들을 보면서 새삼 치가 떨리기도 합니다.

한편으로는 영화 택시드라이버의 주인공으로 당시 광주의 참상을 최초로 세계에 알린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유품도 볼 수 있어 반가웠는데요. 


몇년 전 광주 망월동 민주열사묘역에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가 영면했다는 소식을 듣고 묘소에 찾아사 참배했던 기억도 납니다. 그 날은 참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날이었죠.

당시 사망한 시민들의 유품도 볼 수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칫솔과 립글로스 앞에서 발길이 한참 머물렀습니다.


그냥 이렇게 평범한 사람들이었는데 말이죠.....

그리고 총탄자국이 남은 의사가운과 캐비넷을 보면서 분노가 치밀기도 했습니다.


핏자국이 없으니 사람이 맞은 건 아니지만, 이 캐비넷은 전남대학교 의대병원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참혹한 현실속에서도 서로 돕던 시민들의 모습과 신군부의 언론통제에 항의하며 사표를 내던진 당시 기자들의 의기도 볼 수 있어 눈물겨웠습니다.

 

그리고 1층으로 내려오면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5·18민주화운동 관련 대표적인 정부기록물로 이뤄진 <정부기록 속의 5·18>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시작부터 전개 과정, 그리고 이후 명예회복에 이르기 까지 변화해가는 정부 측 시각을 볼 수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전시를 보고 나오면서 옛 기억을 떠올리게 됩니다.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던 그 때, 저는 초등학생이었습니다. 무슨 일인지 잘 알 수는 없었지만, 저 멀리 전라도 광주라는 곳에서 큰 난리가 났다는 소리를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이후 왜곡되었던 광주의 진실을 최초로 접한것은 고등학생 때였습니다.


독일 방송국에서 촬영했다는 ‘광주사태’ 비디오를 보았는데 참혹한 모습에 충격을 받았었죠.


그 때 광주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더 정확하게 알게 된 것은 대학에 입학하고 난 뒤였습니다.

 

그 이후 대학생활 내내 해마다 5월이면 광주를 떠올렸고, 함께 그 시절을 보내던 청년이 중년으로 바뀌었을 만큼 세월이 흐르는동안 광주 역시 ‘사태’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 국민 모두가 5·18 민주화운동이 광주의 역사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역사라는 것을 이해하고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특별전시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 전시기간 : 2020.05.13.(수)~10.31.(토)

▶ 전시장소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1층 기획전시실, 역사마당, 역사회랑

▶ 관람료 : 무료

▶ 관람시간 : 오전 10시~오후 6시(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 가능)

▶ 관람문의 : 02-3703-9200

▶ 홈페이지 : http://www.much.go.kr/


https://youtu.be/jVd0jCgPfuY



#정호용 특전사령관 #부대원에 암매장 지시 #정호용 특전사령관 지시 사실 진술 확보 #5·18진상조사위 #송선태 위원장 #주남마을 학살사건 3건 추가 확인 #옛 광주교도소 내 5곳 새로 지목 #2017년 11월 5·18기념재단 관계자들이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발굴작업을 하고 있다 ##독일 방송국 #민주열사 #5·18기념재단 제공 #민주화운동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조사위원회 #5·18조사위 #5·18 때 광주에 왔던 계엄군들한테서 #옛 광주교도소 안 암매장 장소를와 관련해 의미있는 진술을 확보 #국가정보원이 보유하고 있는# 5·18 기록 #북한군 투입 관련 기록이 없다는 내용도 확인됐다 #송 위원장은 #국정원 자료조사 태스크포스(TF)팀 #1차 합동 검증한 결과 #5·18 당시 북한군에 관련된 기록은 없었다 #국정원 #탈북자 #상대로 조사한 결과 사실 무근이었다는 내용 #진술을 종합한 결과 #옛 광주교도소 외곽지역 5곳이 특정됐으며 #이중 3곳의 진술이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암매장이 유력하다고 판단되는 3곳은 상부 보고에 누락돼 계엄군이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 #5·18 직후 사체처리반이 광주에 다녀갔다는 기록이 있는 만큼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5·18조사위 #주남마을 총격사격에 대해서도 기존에 알려진 1건 외에 3건이 더 있었다는 증언을 확보했다 #1980년 5월23일 발생한 #주남마을 총격사건 #광주∼화순간 도로를 지키던 11공수여단이 광주에서 화순쪽으로 향하던 버스를 사격 #버스에 타고 있던 15명이 즉사하고 #생존자 2명은 확인 사살 후 암매장 #1명이 생존한 사건 #주남마을 계엄군 총격 사망 사건이 수차례 더 있었다 #언론의 문제 제기가 잇따르자 #5·18조사위는 관련 정황을 확인한 것 #3공수여단 #5개 대대 #부대원 260여 명 #조사한 결과 20여 명 #광주사태’ 비디오 #참혹한 모습에 충격 #영화 택시드라이버의 주인공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 #당시 광주의 참상을 최초로 세계에 알린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유품도 볼 수 있어 반가웠는데요 #광주 망월동 #민주열사묘역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가 영면했다는 소식을 듣고 묘소에 찾아사 참배했던 기억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특별전시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전시장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 #역사마당 #역사회랑  <script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2020년 10월 6일 화요일

원앙, [mandarin duck, 鴛鴦]

“사람과 동물 자연 모두의 행복을 추구한다 는 좋은 취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열심히 활동하며 아무 거리낌없이 생활 과 아픔없이 웃음만 안고 삶을 영위하는 세상살이 야말로...<script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원앙, [mandarin duck, 鴛鴦]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천연기념물 제327호이다.

천연기념물 제327호. 학명은 Aix galericulata LINNAEUS.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동부지방(만주), 러시아·우수리·일본 등 극동지역에 한하여 번식하는 담수에 사는 오리로, 특히 산간계곡 물가에 있는 나무 구멍에 번식하는, 비교적 드문 텃새이다.


성격/ 학명/ 생물학적 분류/ 서식지/ ·소재지/ 출산·개화시기/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번호/ 천연기념물(보호수)/ 지정일/  종류/분류크기/

동식물, 동물, 새,

Aix galericulata LINNAEUS.

오리과

대한민국, 기타 전국 일원, 중국 동부지방, 러시, 우수리, 일본

4∼7월

천연기념물 제327호

1982년 11월 16일

기러기목 오리과

몸길이 43~51cm, 몸무게 444~550g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되었다. 몸길이 43~51cm, 몸무게444~550g이다. 수컷의 몸 빛깔이 아름답다.


여러 가지 색깔의 늘어진 댕기와 흰색 눈 둘레, 턱에서 목 옆면에 이르는 오렌지색 깃털(수염깃), 붉은 갈색의 윗가슴, 노란 옆구리와 선명한 오렌지색의 부채꼴 날개깃털(은행잎깃) 등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갈색 바탕에 회색 얼룩이 있으며 복부는 백색을 띠고 눈 둘레는 흰색이 뚜렷하다.


한국에서는 전국의 산간 계류에서 번식하는 흔하지 않은 텃새이나, 겨울에는 겨울을 나려는 무리들이 내려오므로 봄·가을의 이동 시기에는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경기도 광릉 숲에서는 해마다 15∼20마리의 무리가 번식한다.


여름에는 4∼5마리 또는 7∼8마리의 무리가 활엽수가 우거진 계류나 물이 괸 곳 또는 숲속 연못 등지에 살면서, 저녁에는 계류의 바위 위나 부근의 참나무 가지에 앉아서 잠을 잔다.


겨울에는 북녘에서 번식하는 무리가 내려와 저수지·수원지·호수·바닷가·냇가 등지에서 몇 마리 또는 100∼200마리씩 겨울을 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원앙, 오리과. 몸길이 45cm./

낮에는 사람의 눈을 피해 주위가 가려진 나무 밑, 바위, 물위로 뻗은 나뭇가지에 앉아 머리를 등으로 올리고 한쪽 다리는 들고 잔다.


한배에 9∼12(때로는 13∼14)개에서 22개까지 알을 낳아 28∼30일 동안 품으며 알을 깨고 나온 새끼는 나무 위의 구멍에서 땅 위로 뛰어내려 물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다.


도토리를 비롯한 나무열매를 즐겨 먹으며 달팽이와 작은 민물고기도 잡아먹는다.


한국·사할린섬·일본·타이완·중국(북동부)·영국 등지에 분포한다.

원앙, 오리과에 속하는 전장 수컷 48㎝, 암컷 41㎝의 중형조류. 천연기념물 제327호. 우리나라와 중국 동부지방(만주), 소련.우수리.일본 등 극동지역에 번식하는 담수에 사는 오리로 드문 텃새다. 동양화의 소재다.

4∼7월 한배에 7∼12개의 알을 낳아 28∼30일간 포란한다. 어미새는 도토리를 즐겨 먹으며 농작물과 나무열매, 수생 곤충류도 먹는다. 수컷은 ‘케케’ 또는 ‘윕윕’, 암컷은 ‘괏괏’ 하고 낮은 소리로 운다.


수컷은 뒷머리에 관우상()의 깃털이 있으며, 세 번째 날개깃의 안쪽깃 내판()은 폭이 넓어 은행잎처럼 보인다. 부리는 홍색, 부리끝은 백색, 발은 등색(), 배는 흰색이다.


경기도 광릉 숲속의 물가에서는 언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해마다 번식하고 있으며 5월 하순에는 새끼도 볼 수 있다.


북녘의 번식집단은 결빙 후 남쪽으로 퇴각하며, 중국 동남부, 드물게는 대만·인도 아삼에서도 잡힌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겨울철에 많은 무리가 중부 이남으로 남하, 이동해 온다.


겨울에는 경상남도 거제도에서 큰 무리가 눈에 띈다.


원앙은 두 마리가 함께 다닌다고 하여 화목하고 늘 동반하는 부부를 빗대어 원앙이라고 하며, 동양화의 소재로 많이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양철로 만든 인공 새집도 곧잘 이용하여 번식한다고 하며 도시공원이나 녹지의 숲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특징

수컷은 다른 종과 혼동되지 않는 매우 화려한 깃을 가지고 있다.
활엽수림이 발달한 산간 계곡의 나무 구멍에서 번식한다.
인공새집에서도 번식을 하며 나무에도 잘 앉는다.
여름에는 산간계곡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북쪽에서 번식한 무리가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와 저수지, 호수, 바닷가 등에서 작은 무리를 이룬다.
중국 동북부, 한국, 연해주, 사할린, 일본 등지에서 번식한다.

원앙원앙, 천연기념물 제327호,

번식정보

숲 속의 계곡부 등 물가 근처의 활엽수 나무 구멍에서 번식하지만 때로는 인공새집, 돌담틈새 등 인공적인 구멍에서도 번식한다.


자신이 둥지를 파지 못하므로 딱따구리 둥지를 이용하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구멍을 이용한다.
둥지 내부에 부드러운 깃털을 깐다.


알은 7~14개 낳으며, 알을 품는 기간은 28~30일이다.


구별하기(동정 포인트)

수컷은 다른 새 또는 암컷과 확연하게 구분된다.
수컷의 번식깃은 매우 화려하지만 번식기가 아닐 때에는 암컷과 비슷하다.
수컷은 흰 눈썹선이 특징이며, 부리는 붉은색, 꼬리의 셋째날개깃은 은행잎 모양의 특이한 형태를 보인다.
수컷은 번식기 이후에 암컷과 비슷한 변환깃으로 바뀌지만 부리색의 차이로 구분된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부리는 검은색이고 눈 주위와 그 뒤로 흰색 줄이 있다.


금슬 좋은 부부

원앙은 약 2,5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처음 기르기 시작하다가 약 2,00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앙은 암수의 깃털이 워낙 차이가 나서 고대 중국에서는 서로 다른 새인 줄 알고 수컷은 ‘원’ 암컷을 ‘앙’으로 따로 이름을 붙였는데 나중에 같은 종임을 알고 원과 앙을 합쳐 원앙이라고 불린 것이다. 특히 수컷과 암컷 원앙 한 쌍이 있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하여 예로부터 그림이나 도자기 등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곤 한다.

예부터 원앙은 부부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신혼부부들이 가장 바라는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이다. 원앙은 부부가 항상 같이 다니기 때문에 부부간의 금실이 좋은 새로 인식되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앙이 부부사이의 금슬을 좋게 해준다고 믿었던 사람들은 결혼할 때 원앙 조각 또는 원앙을 수놓은 이부자리 심지어 원앙 한 쌍을 선물하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원앙은 부부금실이 그다지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월동지에서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를 하고 암컷이 마음에 드는 수컷을 짝으로 결정하고 부부가 되지만, 이러한 번식활동은 해마다 반복되므로 매년 부부가 바뀌게 된다. 더구나 원앙 수컷은 일단 둥지가 정해지고 나면 새끼 양육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즉 번식초기에 암컷과 짝을 이루어 생활하다가 암컷이 알을 낳고 품기 시작하면 암컷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또 다른 암컷을 찾아 떠나버리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원앙 자신이 너무 화려해 적의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새끼들의 안전을 위해 떠난다는 의견도 있지만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다.


예문,

The couple is leading a happy married life. 발음듣기 

그 부부는 한 쌍의 원앙처럼 금실이 좋다

NE능률

ornamented with a representation of the mandarin duck 발음듣기 

원앙새의 조각 또는 회화로 꾸미다.

영어영작문대사전

a mandarin duck 발음듣기 

원앙새.



역참조항목

대덕리 원앙새서식지가지산 철쭉나무 군락왕암호



카테고리


출처 ^ 참고문헌,

[원앙 [mandarin duck, 鴛鴦] (두산백과)

[doopedia.co.kr

[원앙 [鴛鴦]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의 새 -천연기념물-』(범양사, 1984)

[한국동식물도감 25 -동물편-』(문교부, 1981)

[네이버 지식백과] 원앙 [鴛鴦]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원앙 [Mandarin Duck] - 두 가지 얼굴을 가진, 나무에 앉는 오리 (국립중앙과학관 - 우리나라 텃새)


#원앙 #mandarin duck #鴛鴦 #대덕리 원앙새서식지 #가지산 철쭉나무 군락 #왕암호 #문화유적 #한국 #천연기념물 #동물 #척삭동물 #조강 #기러기목 #지역 #아시아 #한국일반 #금슬 좋은 부부 #원앙은 약 25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처음 기르기 시작하다가 #약 2000년 전부터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앙은 암수의 깃털이 워낙 차이가 나서 #고대 중국에서는 서로 다른 새인 줄 알고 수컷은 ‘원’ 암컷을 ‘앙’으로 따로 이름을 붙였는데 나중에 같은 종임을 알고 원과 앙을 합쳐 원앙이라고 불린 것이다 #수컷과 암컷 원앙 한 쌍이 있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하여 예로부터 그림이나 도자기 등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곤 한다 #원앙은 부부간의 애정을 표현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신혼부부들이 가장 바라는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 <script data-ad-client="ca-pub-4162949345545299"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